트럼프 "김정은 핵무기 많아"…핵보유국 인도와 같이 거론역대 미국 정부, 북한 '핵보유국'표현 사용 않는 등 신중 대응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을 '뉴클리어 파워'(Nuclear Power·핵보유국)로 다시 지칭하며 1기 때와 같은 관계를 다시 구축하겠다고 밝혔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은 13일(현지시간) 북한을 인도와 파키스탄 등 '사실상(de facto) 핵보유국'과 같은 선상에 놓는 듯한 언급을 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 뒤 백악관은 '북한에 대한 완전한 비핵화' 입장을 다시금 확인했지만, 북한을 뉴클리어 파워라고 반복해 칭하는 트럼프 대통령의 내심을 놓고 한국을 비롯한 관계국이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 집무실에서 마르크 뤼터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사무총장을 만난 자리에서 한반도에서의 긴장이 올라가고 있는데 첫 임기 때 맺었던 김정은 위원장과의 관계를 재구축할 계획이냐는 질문에 "그렇다(I would)"라고 밝혔다.
그는 "나는 김정은과 좋은 관계이며 무슨 일이 일어날지 보겠다"라면서 "확실히 그(김정은)는 뉴클리어 파워(Nuclear Power·핵보유국)"라고 말했다.
아울러 트럼프 대통령은 러시아와 중국의 핵무기를 언급한 뒤 "그 수를 줄일 수 있다면 멋진 성과가 될 것"이라며 "우리는 너무 많은 무기를 가졌고, 그 위력도 크다"고 언급했다.
이어 "김정은은 핵무기를 많이(a lot) 갖고 있고 다른 나라들도 마찬가지"라면서 "인도나 파키스탄도 있고 그것(핵무기)을 가진 다른 나라들도 있다"라고 말했다.
인도와 파키스탄은 핵확산금지조약(NPT) 체제에서 인정하는 핵보유국(nuclear-weapon state)은 아니지만 사실상 핵보유국으로 인식되는 나라들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월20일 취임식 직후 백악관 집무실에서 언론과 문답을 하는 과정에서 북한을 핵보유국이라고 부른 바 있다.
북한은 핵을 갖고 있으나 국제 사회는 외교·군사적 파장을 감안해 북한을 핵보유국으로 인정하지는 않고 있다. 역대 미국 정부도 북한에 대해 '핵보유국'이라는 표현은 사용하지 않는 등 신중하게 대응해 왔다고 연합뉴스는 밝혔다.
미국 조야에서는 외교 전문가가 아닌 트럼프 대통령이 핵보유국이란 명칭을 정확한 개념에 입각해 사용하지는 않았다고 보는 시각이 많다.
다만 백악관은 트럼프 대통령의 이날 발언이 북한 핵무기에 대한 정책 변화를 의미하느냐는 질문에 "트럼프 대통령은 첫 임기 때와 마찬가지로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를 추구할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통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댓글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