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송사업 62주년… 그 실체를 밝힌다

북한인권시민연합, 온라인 메모리얼 토크콘서트 진행

장희원 기자 | 기사입력 2021/12/02 [01:41]

북송사업 62주년… 그 실체를 밝힌다

북한인권시민연합, 온라인 메모리얼 토크콘서트 진행

장희원 기자 | 입력 : 2021/12/02 [01:41]

북한인권시민연합(이사장 김석우 이하 시민연합)과 일본 및 아시아연합NGO 공동주최로 4일 북송사업의 실체를 고발하는 온라인 메모리얼 토크콘서트 ‘가라앉은 북송선의 꿈–지상낙원으로 간 그들은 어디에? 기만적 북송사업과 강제실종’을 진행했다.

북송사업이 처음 시작된 12월 14일을 맞아 실체를 고발해온 올해는 북송사업 62주년 되는 해이다. 이날 진행된 온라인 메모리얼 토크콘서트에서는 인도주의적 사업으로 포장된 1959년부터 1984년까지 재일동포 93,340명을 북한으로 이주시킨 북송사업의 실상을 알렸다.

주최 측은 “북송사업은 북한의 거대한 조직적이고 체계적인 기획 하에 이루어졌다”며“이 사업으로 북한으로 간 재일동포는 차별, 강제실종 등 노예화에 준하는 심각한 인권문제에 놓이게 됐다”고 밝혔다.

이날 행사에서는 북한이 기획한 나카도메 결의로 한순간에 재일동포 사회의 염원으로 둔갑 된 북송사업, 지상낙원이라는 거짓에 속아 북한에 갔다 극심한 차별 및 강제실종을 목격한 탈북 재일동포들의 생생한 증언이 쏟아졌다. 또 북한에서 수용소에 잡혀가기 전 가족들을 만난 재일동포의 증언을 듣고, 도쿄에서 열린 북한정부 상대 첫 재판상황 등에 대해서도 다뤘다.

북한은 재일동포 사회에 깊숙이 침투해 거짓 정보를 바탕으로 한 대대적인 선전 작업을 진행함과 동시에 협박과 사회적 압력을 가했다. 이는 일본 내 차별적인 제도와 문화 등으로 인해 재일동포들에게는 선택의 여지가 별로 없었다는 것이 또한 이유가 됐다.

이들을 이주시킨 원인이 ‘노예적 예속상태’로 두고자 하는 의도에서 비롯되기 때문에 이를 고려할 때 북송사업은 인도적 목적의 귀국사업이 아닌 사실상 강제이주, 노예화 및 현대적 개념의 인신매매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북송사업의 실체를 고발하기 위해 최초로 한국과 일본, 그리고 아시아 연합 NGO 등이 함께 뜻을 모아 메모리얼 토크콘서트를 개최하는 것은 큰 의미가 있어 보인다. 

시민연합 김석우 이사장은 “북송사업이 시작된 지 62주년이 되었지만, 북송사업은 여전히 귀국사업으로 포장되어 역사 속에서만 존재하는 사건이 되었다”면서 “그러나 한국과 일본 그리고 아시아 연합NGO가 함께 힘을 모아 북송사업의 기획된 실체를 고발하는 것은 절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특히 “북한에서 차별과 강제실종을 경험한 탈북 북송재일교포들의 말에 귀를 기울여 북송사업을 재평가하는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일이다”라고 덧붙였다.

이날 한국의 시민연합, 북송재일교포협회, 일본의 NO FENCE, 북조선귀국자의생명과인권을지키는회, 모두모이자, 아시아 연합 NGO인 비자발적실종반대아시아연합(AFAD)이 코로나 시대에 발맞춰 온라인 메모리얼 토크콘서트에 뜻을 함께했다.

 

장희원 기자

 

  • 도배방지 이미지

개성 현화사 7층탑의 겨울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