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바이든 정부가 지난 1월 출범하자 21세기형 세계전략 구상에 경험과 지혜를 결집하고 있다. 구상의 완성엔 시간이 다소 소요될 것이다. 냉전이 끝나던 20세기 말에 21세기는 더 이상 유럽이 아닌 ‘아시아의 세기’가 될 것이라고 국제정치계가 예상했었다.
그 이유는 중국의 엄청난 경제적 부상이 패권도전이란 국제 갈등을 만들지, 정치자유화로써 세계평화에 기여할지 불확실성이 농후하기 때문이었다. 21세기도 첫 이십 년이 지난 지금에서 보면, 후자보다 전자가 뚜렷해지고 있다.
한국은 유동성이 본질인 국제정세를 성공적으로 선용해온 국가군에 속한다. 45년 동안의 냉전기에는 미국과 혈맹으로서 자유민주 진영과 교류협력을 취해 1970년대 중반 경제력에서 북한을 앞섰고, 1980년대는 정치민주화도 달성해 신흥경제국으로서 서울올림픽을 개최했다. 역으로 북한은 70년대 초반 국가주석직을 도입해 세습체제의 기초를 굳혔고 90년대에는 경제가 파탄나자 ‘우리식’ 사회주의를 강조하면서 핵무기 개발에 착수했었다. 한국은 또한, 소련붕괴 이후 30년의 탈냉전기에는 개성공단 등 각종 대북협력과 북한 비핵화협상을 추진했고, 러시아와 중국과 수교함으로써 주변4국 외교를 완성한데 이어 유엔회원국이 되었다. 1996년 OECD에 가입 직후 밀어닥친 외환유동성 위기를 중국시장 활용과 무역다변화로 극복해서 2000년 최초의 남북정상회담, 2010년엔 G20회의, 그리고 2018년엔 평창 동계올림픽을 각각 개최했다. 북한은 탈냉전기에도 개혁개방은커녕, 세습체제를 고수하고자 국제비확산체제에서 탈퇴해 핵무력을 완성하고 그 첨단화와 다종화로 남북관계를 강제하려 하지만, 내부적으로는 여전히 폐쇄적 자력갱생과 퇴행적 체제유지에 급급하고 있다.
이는 미중 신냉전이 미소 패권경쟁과는 근원적으로 달리 민주 대 독재의 가치경쟁이자 자유주의 대 사회주의의 체제경쟁이 될 것임을 예고한다. 최근 미국 고위전략가는 대 중국 전략목표로서 중국공산당보다 시주석 개인의 출당 및 제거를 제시한 바 있다. 중국을 접경한 열넷 국가들은 인도를 제외하면 모두 사회주의 성향인데도, 중국진영으로서 행동할 나라는 러시아 빼고는 없다. 반면, 바이든이 구상하는 민주주의 체제동맹엔 EU 등 다수의 선진국들이 직간접으로 벌써 동조 또는 합류하고 있다.
‘安美經中’, ‘정경분리’ 또는 ‘운명공동체’와 같은 사념적이고 비실용적인 논리를 벗어나 ‘원칙 있는 현실주의’하에서 ‘盟美協中’과 ‘국제법주의’를 국제사회에 천명, 실행하는 것이 긴요하다. <저작권자 ⓒ 통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댓글
|
많이 본 기사
|